Natural Food Jeollanam-do Wando Green Seaweed 180g (100 pcs)

  • Sale
  • Regular price $19.99
Shipping calculated at checkout.


Natural Food Jeollanam-do Wando Green Seaweed 180g (100 pcs)

Seaweed is collected from November to April and produced the most in February. The taste and aroma are excellent.

Seaweed, considered the best seaweed, is rich in vitamins, protein, and minerals.

Wando-gun County explained that one piece of seaweed contains vitamin A equivalent to two eggs.

Vitamin B1 is more than vegetables and vitamin B2 is more than milk. Vitamin C is three times as much as citrus and dried laver has more protein than beans.

Wando, the capital of the clean sea, produces thin and soft traditional laver, blue laver with a unique blue scent, stone laver with a light taste, thick and rough but savory gopchang laver, and landlord-style laver.

In particular, Wando Landlord-type Seaweed Style, which has been around for more than 200 years and grows seaweed by installing a tree on the tidal flat, was designated as National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No. 5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n 2017.

As it is the home of laver, Wando has many anecdotes related to laver.

Among them, it is said that seaweed was not eaten well when there was a lack of food such as barley hump. It is said that Kim did not find it well because hunger came quickly because he promoted digestive function.

However, as the efficacy of laver is known, it is now recognized as a superfoo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자연식품] 전남완도 청정해역의 원초 파래김 180g (100장)

김은 11월부터 4월까지 채취하고 2월에 가장 많이 생산된다. 맛과 향이 일품이다.

해조류 중 으뜸으로 꼽히는 김은 비타민과 단백질,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김 한장에는 달걀 2개와 맞먹는 비타민A가 들어있다고 완도군은 설명했다.

비타민B1은 채소보다 많고 비타민B2는 우유보다 많다. 비타민C는 감귤의 3배나 되고 마른 김의 단백질 함량은 콩보다 많다.

청정바다 수도 완도에서는 얇고 부드러운 재래김부터 특유의 파래향이 살아있는 파래김, 담백한 맛이 일품인 돌김, 두툼하고 거칠지만 구수한 곱창김, 지주식돌김 등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200여 년 동안 이어져 왔으며 갯벌 위에 지주목을 설치해 김을 재배하는 '완도 지주식 김 양식'은 2017년 해양수산부 지정 국가 중요어업유산 제5호로 지정됐다.

김의 본고장인 만큼 완도에는 김과 관련된 일화가 많다.

그중 보릿고개 등 먹거리가 부족했던 시절에는 김을 잘 먹지 않았다고 한다. 김이 소화 기능을 촉진해 배고픔이 빨리 찾아왔던 터라 잘 찾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김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이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에서는 슈퍼 푸드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Back to the top